2-3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은 없어도 오륙도로 이동한다 오륙도 스카이 워크 스카이 워크에서 본 오륙도 까치복 튀김 까치복국 수학여행이 끝났다 My domestic travel/남해안 2016.11.08
2-2 꽃피는 해운대동백섬(海雲臺冬栢)에 동백나무가 자생하는 남해안에는 동백섬이란 이름을 가진 섬들이 많다. 현재 부산 해운대구의 해안대도 일반 명칭은 동백섬으로 섬 전체를 붉게 물들이는 동백나무가 섬의 이름이 되었다. 해운대는 원래 섬이었으나, 육지에 가까이 있어 흐르는 물에 흙, 모래, 자갈 등이 내려와 쌓이면.. My domestic travel/남해안 2016.11.08
1-6 부산 세로썰기로 유명해진 연합횟집 남천동에 위치한 연합횟집 가정집을 개조한 스타일인데 작은 방들도 많고 조용하니 앉아서 회를 먹을 수 있다 흡연파들의 안식처 부산에서 합류한 김인재와 어윤양, 백용일, 박태호, (김수년은 사진에 없다) 길쭉하게 세로썰기를 한 자연산 회 비장한 각오로 담금주를 따르는 조따거 여.. My domestic travel/남해안 2016.11.07
1-5 다시 보는 불국사 또 다시 오마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 『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 석굴암을,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불.. My domestic travel/경상내륙 2016.11.07
1-4 첨성대, 안압지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부(基壇部)위에 술병 모양의 원통부(圓筒部)를 올리고 맨 위에 정(井)자형의 정상부(頂上部)를 얹은 모습이다. 내물왕릉과 가깝게 자리잡고 있으며, 높이는 9.17m이다. 첨성대는 이번 지진으로 기존보다 북측으.. My domestic travel/경상내륙 2016.11.07
1-3 천년 신라의 숨결 천마총 대능원 대능원은 신라 때의 고분 동산. 천마총(天馬塚), 황남 대총(皇南大塚), 미추왕릉(味鄒王陵) 등의 고분 20기(基)가 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수업중에 조는 친구가 있다 1973년 천마총 발굴 모습. 천마총에서 천마도를 수습하는 모습 천마총 발굴조사단 단장은 그 유명한 문화재관리국.. My domestic travel/경상내륙 2016.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