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파(이하응,대원군)의 蘭
흥선대원군
훗날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석파(石坡) 이하응
__난초그림의 쌍벽 대원군과 민영익의 난초 그림
대원군 이하응 (1820~1898년) 의 난초그림(墨蘭)은 가짜가 많기로 유명하다.
그림 절반 이상이 가짜라는 것이 정설, 대원군의 난초는 그의 생전부터 가짜가 많았다.
당시 그의 난초 그림을 원하는 사람이 많아 대원군은 그의 사랑방에 사람들을 앉혀놓고
대신 그리게한 다음 자신은 거기에 이름을 쓰고 도장을 찍었다.
가짜가 많은 것은 대원군의 난초가 뛰어 남을 뜻한다.
추사 김정희의 극찬이 이를 입증한다.
난초 그림은 19세기에 성행했고 그 중에도 대원군과 민영익(1860_1914)이 쌍벽을 이뤘다.
이들의 난초는 회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이지만 그들의 화풍은 사뭇 대조적이다.
대원군의 난초는 섬뜩할 정도로 얘리하다면 민영익의 난초는 부드럽고 원만하다.
이 대조적인 화풍은 그들의 판이한 인생을 담고 있기에 더욱 흥미롭다.
대원군은 여백을 살리고 한 쪽에 한 떨기 春蘭을 즐겨 그렸다.
난은 섬세하고 동적이며 칼날처럼 예리하다.
특히 줄기는 가늘고 날카롭다. 뿌리는 굵고 힘차게 시작하지만 갑자기 가늘어지고
끝부분에 이르면 길고 예리하게 쭉 뻗어 나간다.
반면 민영익의 난초는 여백이
줄기는 가늘고 고르며 일정하고 끝부분이 뭉툭하다.
대원군의 난초는 힘차고 화풍은 그의 파란 만장한 인생 역정과 비슷하다.
처절한 권력 투쟁의 소용돌이에서 그의 야망과 숱한 좌절이 날카로움으로
표출된것이 아닐까?
해동거사(海東居士)란 낙관이 있는 난초는 실각한 후에 운현궁에 눌러 앉았던 1881년 줄기
하나에 울분이 꿈틀거린다.
▷ 민영익 작품 ◁
한편 민영익은 다르다. 그의 왕실 외척으로 태어나 20대 초반에 미국 유럽을 돌며 서양 문물에 눈을 뜨고 요직을 두루 거치지만
야심보다는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던 인물이다.
중국에 유폐된 대원군의 귀국을 반대했던 점에서 드러난다.
그는 1894년 중국으로 망명 그곳의 문인 화가들과 함께 사군자를 그리며 말년을 보냈다.
국립박물관 이원복 학예 연구관은 "그의 중국생활은 국제조류에 뒤지지 않는 독특한 경지의
난초를 탄생시켰다." 고 평한다.
구한말 격변기, 두 사람의 삶의 방식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리겠지만 한국 회화사에 난을
활짝 꽃 피웠다는 점에선 이론이 없으리라.
석파(이하응,대원군)의 蘭
이하응 1892(고종 29)년 작 ◈ 비단에 수묵 119cm x 61.5cm ◈ 개인 소장
... 과 사귀는 것은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 석파 이하응-
... 몸으로 쓴 인간 이하응을 생각해 본다. 그가 만일 난초에 심취하지 않았다면, ...
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1820-1898)의 난초 그림
대원군(석파 이하응)괴석에 난초 8폭병풍
대원군 이하응
괴석과 난초가 어울린 석란(石蘭)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이 난초는 두 폭이 짝을 ...
석파 이하응 의 <묵란첩> 중 한 점. 일본의 컬렉터가 소장하 고 있던 석파의 작품 ...
석파(石坡) 이하응(李昰應), 묵란첩(墨蘭帖), 지본수묵,
이하응(흥선대원군)
이하응(흥선대원군)
'My domestic travel > 서울시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07.19 하늘 저편 노을과 구름이- 어느 여름날 (0) | 2013.07.20 |
---|---|
2013.07.19 지루한 장마중에 개인 날 (0) | 2013.07.20 |
2013.05.12 세검정 (0) | 2013.05.18 |
2013.05.12 백사실계곡 (0) | 2013.05.18 |
2013.05.12 산모퉁이 돌아 (0) | 201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