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신림 용소막성당
뾰족 지붕이 있는 붉은 벽돌 건물로 풍수원 성당을 꼭 닮았다. 건립 시기는 풍수원 성당보다 늦다.
성당이 만들어진 것은 1904년, 현재의 벽돌 성당 건물은 1915년 준공됐다.
풍수원, 원주성당에 이어 강원도에서 3번째로 만들어진 성당이다.
풍수원 성당과 마찬가지로 종탑이 세워져 있고, 창문에 벽돌로 아치를 둘렀으며, 성당 내부는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마룻바닥으로 돼 있다.
건립 이유도 비슷하다. 용소막 역시 풍수원 못지 않은 산골 마을이어서 박해를 피해 숨어들어온 천주교 신자들이 많았다.
성당이 만들어진 직후엔 평창·영월 일대의 신자 3,000여명이 모여들 만큼 교세가 컸다.
가까이서 보면 건물은 꽤 낡았다. 페인트칠만 새로 했을 뿐 벽돌 하나 건드리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 식량 창고로 쓴 덕에 참화를 면했다.
기도하는 손, 물고기 등을 새긴 화려한 스테인드 글라스가 소박한 건물에 비해 튄다.
성당이 문을 연 지 100주년을 맞은 지난 2004년 새로 교체했다. 그때 성당 주변을 정비하고 잔디도 심었다.
성당 입구 돌계단 틈에 못으로 새겨놓은 '단순' '순종' 같은 글귀가 인상적이다.
성당 옆의 붉은 벽돌 건물은 선종완 신부 유물관. 선신부는 성모·영보 수도원을 설립하고
구약성서를 한글로 옮긴 한국 근대 천주교사의 큰인물이다. 용소막 마을에서 태어나 이 성당에서 세례를 받고 신부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선신부가 번역 작업을 위해 사용한 세계 각국의 성경과 독특한 모양의 책상, 카메라, 망원경 등의 유물이 전시돼 있다.
경향신문
용소막 성당은 원주시 신림면에 있는 작은 성당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06호로 지정된 곳이다.
풍수원성당, 원주 성당에 이어 강원도에 세 번째로 설립된 성당으로
원래는 1898년 최석안의 초가집에서 시작된 성당으로 지금의 건물은 1915년에 시잘레신부가 준공하였고,
10년이 넘은 건물이 되었다. 원주에서 제천으로 가는 가리파고개를 넘어 신림면 사무소를 지나 백운면 쪽으로 접어들면
바로 성당의 모습이 보이는데 마치 명동 성당의 축소판 같이 고딕양식의 벽돌 건물로 지어져 있다.
성당 건물의 주위로는 느티나무가 열을 지어 있고 왼쪽으로 언덕 아래엔 성모 마리아상이 서 있다.
성모상 위쪽은 울창한 송림이 이어지는데 송림 옆으로는 성당의 부속건물인 성 라우렌시오 유물관들이 자리잡고 있다.
유물관 안에는 한글과 영어는 물론 라틴어 성경에 독일과 이탈리아, 러시아등 여러 나라의 성경들이 전시되어 있고,
이곳에서 태어나 평생을 이곳에서 보낸 선종완 신부가 공동번역을 할때 쓰던 책상 일조와
수십 권으로 묶은 성경 번역의 초고등 생전에 쓰던 유물과 유품들이 전시되어있다.
붉은 벽돌로 지은 시골 성당의 모습은 한폭의 그림같은 풍경으로 성당 구역의 엄숙하고 근엄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횡성에 풍수원성당과 느낌이 같은 이유를 알았다
중앙선 간이역 신림역은 조만간 없어진다.
신림 면사무소부근의 커피집 '늬에게"
이곳이 너무나 좋아서 몇년 전에 아예 이곳으로 이사와 정착을 했단다.
주인장과 얘기를 하다보니 겨울은 나름 풍성하다.
서울 연남동에 있던 카페 "늬에게"가 이사를 왔다
옆에 키타교습소와 함께 운영하는 집이다.
베란다에는 미니덴파레
'My domestic travel > 강원내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눈 오는 날에 풍수원 (0) | 2016.02.11 |
---|---|
1-1 설날의 풍수원 성당 (0) | 2016.02.11 |
2-1 원주 흥업에 생활의 달인이 있다 (0) | 2016.02.02 |
1-2 풍수원성당 (0) | 2016.02.01 |
1-1 횡성 풍수원 성당 (0) | 2016.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