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unila Valley links the Tizi n Tichka pass to Ait Ben Haddou
and was originally the main thoroughfare for the trans-saharan tradeOunila Valley route
between Marrakesh and sub-saharan Africa.
Today, evidence of this once highly important role is reflected in the numerous crumbling kasbah’s
and ksar which are dotted all throughout the valley.
꼬불꼬불 우닐라 계곡(Ounila valley)
마라케시에서 아이트 벤 하두(Ait-Ben-Haddou)까지 왔다.
아이트 벤 하두(Ait-Ben-Haddou)인데 아직도 사하라사막을 갈려면 멀다.
우닐라 계곡 하류
아이트 벤 하두
다리를 건너 제일 높은 산으로 올라갈 생각이다.
영화 글라디에이터의 세트장이 이곳 쯤에 세워졌던 것 같다
흙벽돌
지나온 다리
ait ben haddou aerial view
영화에 나오던 글라디에이터 세트장
영화장면
이곳에서 많은 영화를 찍었다.
아이트 벤 하두의 크사르(Ksar of Ait-Ben-Haddou)
크사르는 흙을 높게 쌓아 올려 지은 건물들이 모여있는 사하라 인들의 전통 주거지를 말한다.
집들은 네 귀퉁이마다 망루를 세워 보강한 방어벽 안에 밀집해 있다.
우아르자자테(Ouarzazate) 지방에 있는 아이트 벤 하두(Ait-Ben-Haddou)는
남부 모로코의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뛰어난 사례이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우아르자자테 지방 하이아틀라스(High Atlas)의 남쪽 경사면 언덕에 자리 잡고 있는
아이트 벤 하두 유적은 우닐라(Ounila) 계곡에서 가장 유명한
크사르(Ksar, 흙을 높게 쌓아올려 지은 건물들로 구성된 전통 주거지)이다.
남부 모로코의 건축 방식을 잘 보여주는 아이트 벤 하두의 성에는
벽이 맞붙은 수많은 건물이 군집해 있다.
망루와 회전식 문으로 방어를 보강한 성벽 안에는 주택들이 모여 있다.
일부는 자그마하고, 다른 일부는 높은 망루와 흙벽돌로 상단부를 장식해
작은 성(城)과 비슷하다. 그러나 그것들은 항상 건물들과 공동 구역 안에 함께 있다.
아이트 벤 하두의 크사르는 원시 사하라에서 있었던 흙을 이용한 건축 기법을
완벽하게 보여주는 조화로운 건물들이다.
가장 오래된 건축물도 17세 이후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구조와 기법은 남부 모로코 계곡 지역에서 아주 초창기부터 전해 내려온 것이다.
이 유적은 또한 드라 계곡과 티진 텔루에트(Tizi-n’Telouet) 경로를 통해 고대 수단과
마라케시를 잇는 교역로 위의 있던 많은 교역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다.
건축학적으로 주거 구역은 소규모로 분류되고, 폐쇄적이며, 현수(懸垂)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크사르의 공동 구역에는 모스크와 공공 광장, 성벽 외곽의 탈곡장 구역,
마을 상단부의 요새와 로프트(loft), 휴식 공간 1곳, 묘지 2곳(무슬림과 유대인),
성 시디 알리(Sidi Ali) 혹은 아메르(Amer)의 성소(聖所)가 포함되어 있다.
아이트 벤 하두는 모로코 원시 사하라 지역의 흙을 이용한 건축술을 완벽하게 보여 준다.
완전성
아이트 벤 하두의 크사르를 구성하는 모든 구조물은 유산과 주변 환경을 보호하는
완충 지역 내부에 있다.
흙으로 만들어진 건축물들은 매우 취약해진 상태인데, 그곳에 살던 주민들의 정기적인 수리와
유지 보수가 미흡한 상태로 크사르를 방치했기 때문이다.
아틀라스 산악과 그 주변 지역의 건축적 유산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센터(CERKSA)가
유산의 가시적 완전성과 관련해 감독을 하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진정성
아이트 벤 하두의 크사르는 이 지역의 다른 크사르와 비교했을 때 구성과 소재 측면에서
건축물의 진정성을 가지고 있다.
건축양식이 잘 보존되었고, 흙으로 된 건축물들은 기후 조건에 완벽하게 맞춰졌으며,
자연 및 사회 환경과 조화를 이루었다.
마을 저지대의 대형 주택들과 잘 보존된 장식들은 정기적으로 유지 보수되고 있다.
또한 아직까지도 흙과 목재를 건축 자재로 쓰며, 시멘트는 도입되지 않았다.
‘위법행위 감시 위원회(Comité de contrôle des infractions:Rural Community,
Town Planning Division, Urban Agency, CERKAS)’의 지속적인 감시 덕분이다.
상인방(上引枋)과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일부 있지만 흙벽으로 숨겨 놓았다.
목재를 금속 자재로 대체하지 않도록 골목으로 난 문과 창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본문
아이트 벤 하두는 남부 모로코 크사르의 가장 탁월한 사례이다.
드라(Dra)·토드가(Todgha)·다데스(Dades)·수스(Souss) 계곡에서 주요하게 관측되던
크사르의 건축 양식이 남아 있다.
남부 모로코의 흙을 주재료로 하는 이 건축 양식은 특히 그레이트 마그레브(Great Maghreb)·
모리타니(Mauritania)·리비아(Libya) 전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원시 사하라 가옥 건축의 양식이다.
이 놀라운 건축물들의 기원이 이슬람화 시기인지 아니면 757년 시질마사(Sijilmassa) 건립 시기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비록 17세기 이전의 증거들은 남아 있지 않지만,
아마도 매우 초기 시대에 이곳의 건축 구조와 기법이 제벨(Djebel)과
남쪽 계곡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전통 주거지의 유형은 대단히 다채롭다.
대형 주택들은 중앙에 위치한 사각형 모양의 안뜰을 중심으로, 네 방향으로 뻗은 요새,
망루에 둘러싸여 있었다.
이런 대형 주택을 베르베르에서는 티그렘트(Tighremt)라고 부르고, 아랍에서는 다르(Dar)
또는 카스바(Kasba)라고 불렀다. 그 중 일부는, 벽이 있는 두 번째 안뜰 주변에 집이 놓여,
출입구와 낮게 이어지도록 되어 있다.
남부 모로코의 카스바는 부유층의 세대 단위 건축물로, 여러 형태와 기능을 갖추고 있다.
대부분은 농업용 별장이다.
아래층은 농경에 사용되고, 위층은 겨울(윗부분)과 여름(아랫부분)에 생활공간으로 쓰였다.
스쿠라 오아시스(Skura Oasis)에서 처럼 인접한 주택은 농사 일꾼들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카스바는 또한 고대 글라우아(Glaua)와 타우리르트(Taurirt), 테루에트(Teluet)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역 권력자들의 요새화된 궁전이었다. 그런 다음 작은 마을의 규모가 되었다.
카스바와는 대조적으로, 크사르(Ksour의 복수형인 Ksar)는 주로 공동체 군락을 이룬
세대 단위 가구의 건축물이다.
방어벽 안쪽으로는 지그재그 모양의 거리와 집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이 요새화된 집은 각각 모퉁이에 망루를 세워 강화하였다.
일부는 소박하고, 또 다른 일부는 윗부분을 흙벽돌로 치장한 높은 망루가 있는
도시의 작은 성채와 비슷하다.
하지만 공공 공간도 있어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양 우리와 축사가 있으며,
창고와 목초 저장실, 시장, 가문의 대표들이 회의실, 모스크, 마드라사와 같은 건물들이 있다.
아이트 벤 하두는 원시 사하라의 건축 기법의 완벽한 파노라마일뿐 아니라
남부 모로코의 건축 양식의 인상적인 축도를 보여 주는 독특한 건축물군이다.
원시 사하라의 건축기법은 패널 벽돌과 모서리용 둥근 벽돌 주위에 흙을 다져
단단히 세운 방식, 일반적인 흙으로 만든 방식, 점토 벽돌을 이용한 방식 등이다.
경탄할 만한 로프트- 요새는 크사르가 있는 반대편 산을 내려다보고 있다.
아가디르(agadir) 오리그람(orighram) 로프트들은 모로코에서 특별한 것은 아니다.
로프트는 높은 지대에 건축되어 있고 요새화된 마을이 있는 로프트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곳은 포위 공격을 당할 때 최후의 보루로서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로프트의 방어적 성격은 오늘날에는 불분명해졌다.
'My travel abroad. > Morocco(2020 F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5-7 Taourirt Kasbah in Ouarzazate (0) | 2020.04.03 |
---|---|
5-6 Atlas film studios, Ouarzazate(와르자잣) (0) | 2020.04.01 |
5-4 아틀라스 산맥을 넘어서면 (0) | 2020.03.16 |
5-3 가장 높은 곳에 지그재그로 이어진 티지 앤 티치카(Tizi n'Tichka) panorama views (0) | 2020.03.16 |
5-2 아틀라스 산맥 아이 트 벤 암마르 (Aït Ben Ammar) 베르베르인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