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주사에서는 창건주지인 선학스님의 전공(불교미술, 박물관교육학박사)을 살린
한국, 중국, 일본, 티벳, 몽골 등의 고판화수집품 4,000여 점을 중심으로
2004년 문을 연 국내 유일의 고판화박물관이 있다..
절집과 나란히 있는 것에서 짐작하듯 이 박물관은 명주사의 주지인 한선학 스님의 노력으로 일궈낸 소중한 결실이다.
명주사 고판화박물관(관장 한선학)은 “지난 6월 2일부터 7월 20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려
큰 호평을 받았던 고판화 기획전을 강원도민들과 원주 시민들도 볼 수 있도록 9월 22일부터 10월 30일까지 다시 개최한다
마니차
오륜행실도 목판.
일본인이 화로로 사용하며 원형이 많이 훼손됐다.
철종 때 간행된 오륜행실도 판화가 있다. 정확히 표현하면 판목상자다.
삼강행실도류 판화는 세종 때부터 고종 때까지 조선시대 내내 간행된 것으로
효자, 충신, 열녀 등 유교적 덕목으로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해 국가가 발간한 국민윤리 교과서에 해당한다.
풍속화가 김홍도의 그림에, 한글서체의 완성본이라 할 만큼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서체(그래서 '오륜체'라고도 명명)를 자랑하는
오륜행실도는 그 동안 서책으로는 여러 종류가 남아 있었으나 목판 원판은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충격적인 모습으로 발견됐다.
일본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난방용 나무화로(이로리)의 바깥을 장식하는 나무판재로 오륜행실도 목판이 사용된 것.
이는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우리 문화유산을 어떻게 파괴하고 수탈했는 지 생생히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덕주사판 불설아미타경.
선조 5년(1572) 월악산 덕주사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고려 양식을 답습하는 등
당시 서예와 판화, 미술 양식 변천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안심사판 제진언집’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48호 ‘예념미타도량참법’.
안심사판 제진언집은 조선시대 밀교가 불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 광주 무등산 안심사에서 간행한 불교 경전이다.
예념미타도량참법은 조선시대 아미타불 신앙을 그림으로 풀어낸 목판이다.
일제강점기 발행된 책으로 유명 화가들의 글씨와 그림 판화가 수록된 '대방초간독'(大方草簡牘)
'My domestic travel > 강원내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장 넘어 목련이 피기까지는 (0) | 2015.11.28 |
---|---|
2015. 10. 22 풍물시장 (0) | 2015.10.23 |
너와로 태어난 치악산 명주사 (0) | 2015.09.20 |
초록색은 여행에서 (0) | 2015.08.22 |
김장하던 날 (0) | 201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