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와인이 지금도 아무런 인공 첨가물 없이 8,000년 전의 방법으로 생산된다.
포도를 토기에 넣고 뚜껑을 덮어 밀랍으로 밀봉한 뒤 6개월 정도 숙성시킨 뒤 개봉한다.
크베브리 와인의 생명은 박테리아 관리에 있다.
그를 위해서 세척 과정에서 체리나무껍질로 만든 수세미만 사용하고,
와인을 떠내는 도구로는 표주박만을 사용한다. 조지아에는 560가지 이상의 다양한 와인 품종이 있다.
3km마다 기후가 달라진다고 할 정도로 다양한 미세기후 때문에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 지역에 따라 맛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레드 와인 품종 사페라비Saperavi는 드라이한 편이다.
와인을 가열해 만든 전통 증류수로는 차차Chacha도 유명하다. 45~85도로 독하다.
타마다는 연회의 주최자가 아니다. 위트와 센스가 넘치고 잘 생기고 모두의 호감을 사는 인물이어야 한다.
오직 타마다만이 건배를 제의할 수 있으니 언변이 좋아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하몽은 와인과도 찰떡궁합을 자랑한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달콤한 멜론과 함께 먹을 때 최고의 맛을 느낄 수 있다.
하몽의 짭조름한 맛과 달콤한 멜론의 환상적인 조화는, 음,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죽었다 깨어나도 모른다.
'카메라 > 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올림픽 3대 미녀 (0) | 2021.07.28 |
---|---|
내적 흥이 폭발하는 이날치 '수궁가' (0) | 2021.06.17 |
모네의 초여름 양귀비 들판 (0) | 2021.05.26 |
일본 곱셈트릭 (0) | 2021.03.01 |
버즈 라이브 착용법 (0) | 2021.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