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농사

메이플사과, 황촉규(닥풀)

봉들레르 2015. 8. 31. 23:45

 

메이플사과

 

위에 노랑 꽃이 목본 황촉규.

황촉규에는 초본과 목본이 있다.
1년생 초본은 키가 50Cm 정도, 목본은 2m도 더 큰다.
그런데 목본이라도 밖에서는 한국의 겨울 추위를 넘기지 못하고 얼어 죽는다.
그래서 실내로 옮겨야 한다. 용도는 관상용인데, 한지를 뜨기 위하여 지장에 접착제로 풀어넣는다.
뿌리를 찬물에 불려서 으깨면 소 침처럼 끈적한 액체가 나오는데, 이것이 천연 접착제

결실의 계절인 초가을에 접어드는 시기인 8-9월에는 피어있는 꽃의 종류가 줄어들게 마련이다.

이런 시기에 주변 길가에 놓여있는 화분이나 또는 주택 화단에 심어져 있는 비교적 키 큰 식물에

소담스럽게 한 두 송이씩 커다란 노란색 꽃이 피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식물은 보통 줄기가 1.5-2m 이상 자라는데 아욱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로서 닥풀이라고 하며 황초규(黃蜀葵)라고도 부른다.

원래 이 계통 식물들은 더운 지방에 자라는 열대지방식물이다.

닥풀은 원산지가 중국이지만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된 귀화식물이다.

의료용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쓰임새가 많아서 각 지역에서 비교적 많이 재배하고 있다.


식물원이나 약초원에서도 대부분 키우고 있음으로 쉽게 만날 수 있으나 야생상태에서는 만날 수 없다.
보통 야생화에 비해서 꽃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원줄기 끝에 있는 꽃자루에 여러 개의 꽃봉오리가 달려있고 밑에서부터 차례로 위로 올라가면서

꽃이 피는 총상화서(總狀花序) 꽃차례를 하고 있다.

언 듯 보기에 접시꽃이나 또는 부용꽃과 비슷한 구석이 많아서 혼동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실제로 접시꽃을 황촉규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들 식물은 모두 동일한 과(科)와 동일한 무궁화 속(屬)에 속함으로 꽃의 특징 또한 비슷하다.

꽃잎은 5개로 기와처럼 겹쳐있고 꽃의 중심부는 검은 자주색을 띄고 있다.

연한 노란색 꽃잎과 대조를 이루고 있어서 한결 더 멋있어 보인다. 잎사귀는 손가락처럼 5-7갈래로 깊게 갈라진 모습을 하고 있다.수술과 암술의 모양이 보통 다른 꽃과는 차이가 커서 혼란스럽기도 하다. 우선 암술과 수술의 구분이 분명치 않다.

수술대는 암술대와 전혀 구분이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수술대가 암술대에 붙어서 완전히 하나로 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술대와 수술대를 따로따로 구분 할 수 없다.

 
꽃 중심에 뻗어있는 중심대가 암술대와 수술대가 합쳐진 부분이고 끝부분이 암술머리이고 5갈래로 갈라져 있다.

 중심대 가장자리 둘레로 꽃 밥이 붙어 있다.

이처럼 수술대가 암술대에 합해(융합)져서 하나의 다발로 된 수술을 단체웅예(單體雄蘂, monadelphous stamen)라고 한다.

원래 수술대는 하나하나 따로 떨어져 있고 각 수술대 끝에 화분주머니가 붙어 있다.

그 화분주머니 속에 꽃가루(화분)가 들어 있는데 화분주머니가 열리면서 꽃가루가 밖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닥풀처럼 단체웅예 형태의 수술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식물이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 꽃이다.

무궁화 꽃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꽃임으로 잘 관찰 해 보면 평소 무관심했던 꽃 구조의 다양성을 알게 되고 또한 흥미를 느끼게 될 것이다. 

오이나 호박과 같은 박과식물도 이와 유사한 수술을 갖고 있다.

닥풀의 식물명은 종이제조와 관련이 있다.   자고로 우리나라 종이인 한지는 닥나무 껍질을 벗겨서 제조했는데

 종이를 채로 뜰 때 닥나무 분말이 서로 잘 붙게 하기 위해서 닥풀 뿌리에서 얻은 진액을 풀 대신에 접착제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닥풀의 뿌리를 물에 담가두면 끈끈한 진액이 나와서 풀처럼 된다.

닥나무 분말을 닥풀 뿌리 진액에 분산시켜서 종이 제조에 사용한데서 닥풀 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뿌리에는 점액질이 16% 정도 함유되어 있고 아라반(araban), 갈락탄(galactan)이 주성분이다.

한방에서는 황촉규의 꽃, 잎, 줄기, 뿌리, 씨 등 식물의 모든 부위가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뿌리를 황촉규근(黃蜀葵根), 그리고 종자를 황촉규자(黃蜀葵子)하여 염증을 가라앉히고 해독에 효능이 있고 이뇨효과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원주택 > 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10. 03 고구마  (0) 2015.10.04
튤립이 연상되나요  (0) 2015.09.25
2015. 08. 27 바람불고 햇빛이 좋은 날  (0) 2015.08.28
미꾸라지 대파 숯불구이  (0) 2015.08.24
2015. 08. 호박도 그리기 나름이다.  (0) 201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