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plan domestic/호남

영화가 된 소설, 그 소설이 된 장흥의 오솔길

봉들레르 2015. 4. 24. 18:29
남도에 가면 조심할 게 몇 가지 있다. 전남 여수 가서는 돈 자랑 말고,

 순천에선 인물 자랑 말며, 벌교 가서는 주먹 자랑 삼가라고 했다.

요즘에야 이런 ‘전설 같은’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이 드물지만,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런 농지거리들이 흔하게 회자됐다.

벌교와 이웃한 장흥에선 글자랑 말라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발 닿는 곳마다 시인 묵객들이 남긴 자취가 빼곡하기 때문이다.

장흥 출신으로 문단에 오른 작가만 100여 명을 헤아린다던가.

그러니 문인들의 자취를 되짚어가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테마여행이 될 터다.

‘문학관광기행특구’로 지정된 장흥에서 문향(文香) 따라가는 여행 해 보자는 건 이런 뜻이다.

 

글자랑 말라는 얘기는 먼먼 섬 청산도에도 전해진다. 한데 내용은 장흥과 다소 다르다.

옛 청산도는 고등어 파시 등으로 비교적 부유한 섬이었다. 밥술깨나 먹는 집안에선 제 자식 일본 유학 보내길 주저하지 않았다.

이는 청산도에 식자층이 두꺼웠다는 뜻이다.

반면 장흥은 글 짓는 이가 많았다. 순수 예술인을 많이 배출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기행 가사 ‘관서별곡’을 지은 백광홍(1522~1556)을 비롯해 이청준(1939~2008), 한승원, 송기숙 등

당대의 문장가들에다 차세대 노벨 문학상 후보로 꼽힌다는 소설가 이승우 등 신진에 이르기까지, 작은 고장 안팎이 문인들로 차고 넘친다.

백광홍에서 비롯된 문맥은 이청준의 ‘눈길’ ‘축제’ ‘선학동 나그네(천년학)’, 한승원의 ‘포구’ ‘앞산도 첩첩하고’,

송기숙의 ‘녹두장군’, 이승우의 ‘샘섬’ 등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그러니 장흥을 두고 문향(文香) 가득한 문향(文鄕)이라 불러도 무리는 아니겠다.



첩첩이 쌓인 문탑 만큼 남은 글 자취


문학기행의 들머리는 천관산 아래 천관문학관이다. 여기서 대략의 내용을 먼저 짚는 게 순서다.

장흥에서 나고 자란 문장가는 누구며, 그가 문학적 영감을 키운 무대는 어디인지 등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문학관 위쪽으로는 15m 높이의 문탑이 세워져 있다. 문탑 밑엔 구상, 박완서 등 작가들의 친필 원고 50여 점과 연보 등이 캡슐에 싸여 묻혔다.

문탑 아래쪽은 천관산문학공원이다. 50여 개 문학비와 주민들의 가훈을 모은 가훈탑 등이 무리 지어 있다.


이른바 ‘소설길’을 따라 여정에 나선다. 장흥에서 나고 자란 이대흠 시인 겸 소설가가 주창한 길로,

이청준의 생가에서 출발해 현지인들이 ‘문학 자리’로 여기는 이청준의 묘와 선학동, 회진마을, 덕도의 한승원 생가,

정남진 전망대 등을 둘러본 뒤 남포마을과 한승원 해산토굴에서 여정을 마치도록 안배됐다. 


길 중간중간 오래된 교회도 만난다. 동서양의 사상을 녹여내 장흥을 문향으로 키워내는 데 한몫을 했던 곳이다.

이청준, 한승원의 생가 인근에 각각 100년을 헤아리는 내력의 교회가 서 있는 건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장흥엔 100년 넘은 교회만 4곳이라고 한다. 이청준 생가 주변의 진목교회는 장흥 지역의 근대교회 도래지로 꼽힌다.

한승원 생가 인근의 명덕교회도 얼추 그쯤의 내력을 지니고 있다.



지금은 눈물 대신 꽃물 수놓인 길


‘소설길’ 들머리는 진목리의 이청준 생가다. 그의 대표작 ‘눈길’에 등장하는 바로 그 집이다.

이청준은 청소년기에 두 차례나 집안이 ‘거덜 나는’ 시련을 겪는다.

어린 그에게 안식처가 돼줬을 생가도 그때 빚쟁이의 손에 넘어가고 만다. 현재의 생가는 2005년 장흥군이 매입해 복원한 것이다.

생가는 마을의 좁은 고샅길 중턱에 있다. 방과 장독대가 가지런하고 마루와 뜨락도 정갈하다.


회진포구에서 진목리에 이르는 길, 그러니까 흔히 ‘장흥 문학의 자궁’이라 불리는 길은 소설 ‘눈길’의 무대가 됐다.

‘눈길’은 이청준의 자전적 소설이다. 주인공인 ‘내’가 고교 1학년 때 전답과 선산, 심지어 고향 집까지 남의 손에 넘어간다.

어머니는 외지에서 공부하던 아들이 주인이 바뀐 고향 집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믿고 빈 고향 집에서 기다린다.

새 집주인에게 통사정을 해 옛집에서 하룻밤 아들을 재운 어머니는 이튿날 새벽 다시 ‘나’를 대처로 내보낸다.

어머니와 함께 걷던 눈 덮인 새벽길, 그때의 정경이 어찌 뇌리에서 사라질 수 있으랴.

소설 속의 ‘나’는 물론 이청준이고 집이 넘어간 것은 그가 광주일고 1학년이었을 때쯤이라고 한다.

‘눈길’은 바로 이 참담한 이른 아침의 기억이 모태가 된 작품이다.


진목리에서 회진포구 쪽으로 돌아 나오면 선학동마을이다.

원래는 산저마을이었는데 이청준의 ‘선학동 나그네’에서 모티브를 얻어 마을 이름을 바꿨다.

‘선학동 나그네’는 이후 임권택 감독의 영화 ‘천년학’으로 재해석된다.

회진리 바닷가에 ‘천년학’ 세트장이 남아 있다. 해마다 봄이면 마을 주변이 유채꽃으로 노랗게 물든다.

 

풍경과 작품이 그림처럼 어우러져

안양면은 ‘아제아제 바라아제’ 등을 발표한 한승원의 문학 터전이다.

율산마을에 ‘해산토굴(海山土窟)’이라는 집필실을 마련한 그는 여전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해산토굴은 아담한 한옥이다.

득량만의 여다지 해변이 한눈에 들어오는 마을 뒷산에 터를 잡았다.

그의 작품 속에서 여다지 해변은 늘 만물을 잉태하고 출산하는 생명의 현장으로 그려진다.

그에 걸맞게 바닷물이 ‘썰(빠질)’ 때면 여다지해변은 갯것들을 캐내려는 억척스러운 아낙들로 질박한 풍경화를 그려낸다.

여닫이해변 앞엔 ‘한승원 문학 산책로’도 조성됐다. 한국관광공사가 ‘깨끗한 갯벌이 숨 쉬는 아름다운 바닷가’로 선정한 곳이다.

‘어등’ ‘모래알’ 등 한승원의 글이 새겨진 비석들이 700m 정도 이어진다. 이 지역의 공식 주소가 ‘한승원산책길’로 정해진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듯싶다.


정남진(正南津) 전망대가 있는 신동은 소설가 이승우의 고향이다. 그는 멀리 바다 위로 뜬 ‘가슴앓이 섬’을 바라보며 ‘샘섬’ 등의 작품을 썼다.

한승원의 생가가 있는 덕도는 동학군의 후예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그만큼 주민들의 자부심도 세고 문향도 짙다. 할미꽃이 무리 지어 핀 한재에서 마을 전경을 굽어볼 수 있다.

 


용산면 남포마을은 일출 명소 소등섬으로 유명한 곳이다. 소박한 해안선과 고즈넉한 득량만, 마을 앞 소등섬이 그림처럼 어우러진 곳이다.

마을은 임권택 감독의 영화 ‘축제’의 주 촬영지였다. 영화의 모티브가 된 건 이청준이 지은 동명의 소설이다.


포기 할 수 없는 즐거움 ‘장흥삼합’

가는 길 : 수도권에서 승용차로 가자면 호남고속도로~익산포항고속도로~순천 완주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남해고속도로 영암·순천 구간으로 갈아탄 뒤 장흥 나들목으로 나가는 게 가장 알기 쉽다.

광주, 화순 등을 거쳐 가는 길도 있다. 빠르긴 한데 다소 복잡하다.

맛집 : 제철 해산물은 바지락과 갑오징어다. 해산토굴 근처 수문해수욕장은 바지락이 많이 나는 곳이다.

특히 바지락회무침이 미각을 자극한다. 바지락을 살짝 데쳐 초고추장과 함께 따뜻한 밥에 썩썩 비벼 먹자면 밥도둑이 따로 없다.

바다하우스(862-1021)가 그 중 알려졌다. 갑오징어는 이즈음 살이 오르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는 몸통에 먹물이 섞이지 않게 해서 먹는데 장흥에선 일부러 먹물을 섞어 가무잡잡하게 해서 먹는다.

읍내 싱싱횟집(863-8555) 등에서 맛볼 수 있다.